가드헤벨(Gath-hepher) (출처- http://bibleatlas.org/gath-hepher.htm)
나사렛 동북 5Km 지점.
(1) 여호수아가 스불론 지파에게 준 땅 (수 19:18).(2) 선지자 요나의 고향(왕하 14:25). 요나는 여로보암 2세(주전 786-746) 시대에 북왕국 이스라엘에서 활동한 예언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갈릴리의 나사렛 부근에 있는 가드헤벨 출신으로서 여로보암이 이스라엘 지경을 하맛 어귀에서 아라바 바다까지 회복할 것이라고 예언한 적이 있었는데 이 예언은 그대로 성취되었다.
1. 의미 및 위치
1) '가드'와 '하파르'의 합성어로 '굴에 있는 포도주 틀'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스블론과 납달리 변경 지대에 있는 성읍이다(수19:13).
3) 여로보암 2세 시대에 살었던 예언자 요나의 고향이기도 하다(왕하14:25).
4) 현재 나사렛 북동쪽 약 3Km 지점에 위치한 넓은 키르벳 에즈 주라(Khirbet ez-Zurra‛ ,Tel Gat Hefer)와 동일한 곳으로 본다.
현재는 아랍인 마을 메시헤드(Mashhead)와 동일시 되고 있다.
2. 역사
1) 주전 1550년에서 1200년, 후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가 존속되었다.
2) 주전 1200년에서 600년, 철기 문화 1,2기였음이 입증되었다.
3) 주후 4세기에 제롬은 요나의 무덤이 셉보리스에서 약 3.2Km 떨어진 메쉐드 마을에 있다고 했다. 셉보리스는 가드헤벨과 그 위치가 우연히 일치하고 있다.
3. 예언자 요나
1) '비둘기'란 이름의 뜻을 가진 예언자 요나는 스블론의 가드헤벨 출신인 아밋대의 아들(왕하14:25)로 태어났다.
2) 그의 정확한 활동 연대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하맛 어귀로부터 아라바 바다(사해)까지 이르는 북왕국 영토의 회복을 예언하였다.
3) 이것은 우연하게도 이스라엘의 이상적인 경계선이었다(암6:14).
4) 이후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가 이 영토를 성공적으로 회복하였다.
5) 후대에 니느웨에 대한 예언자의 선교도 이 예언자의 행위로 알려져 요나서의 중심 인물이 되기도 하였다.
4. 여로보암 2세의 영토 회복
1) 주전 786년에서 746년경에 재위하였던 요아스의 아들인 이스라엘 왕이다.
2) 여로보암은 41년 간 통치하면서 북왕국이 과거에 누리지 못했던 번영을 누렸다.
3) 다메섹을 회복한 일, 하맛을 이스라엘에 돌린 일(왕하14:28)이 성경에 나타나 있다.
4) 또한 북쪽 지방 뿐만 아니라 아라바 바다까지(25절) 그 영토를 확장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5) 이는 가드헤벨의 예언자 요나가 일찍이 예언했던 바였다.
가드헤벨(Gath-hepher) (출처- http://bleon1.wordpress.com/2011/10/05/jonah-was-from-gath-hepher/)
욥바 요나의 물고기 동상 (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요나 예언서는 페르시아가 통치하던 기원전 6-4세기경에 쓰여 졌을 것이라고 학자들은 추정한다. 요나 예언서에 의하면 요나는 니네베로 가서 회개를 선포하라는 주님을 피해 달아나려고 타르시스로 가는 배를 야포에서 탔다. 그러나 바다에서 큰 폭풍이 일어나 배가 거의 부서지게 되자 뱃사람들은 누구 때문에 이런 재앙이 닥쳤는지 알아보려고 제비뽑기를 했는데 요나가 뽑혔고, 성난 바다를 달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요나를 바다에 내던지자 바다가 잔잔해졌다.
요나의 무덤이 있는 회교사원 Nebi Yunis (출처- http://oi.uchicago.edu/OI/IS/SANDERS/PHOTOS/MESO/NINEVEH)
드고아(Tekoa, Tekoah) (0) | 2014.04.23 |
---|---|
메르넵타 석비( Merneptah Stele)의 '이스라엘' (0) | 2014.04.14 |
벧여시못(Beth Jeshimoth) (0) | 2014.04.09 |
아벨싯딤(Abelshittim, Tall el Hamman), 싯딤(shittim) (0) | 2014.04.09 |
벧 호론(Beth Horon) (0) | 201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