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1648, 유화, 루브르박물관 출처- <천국을 훔친 화가들>, 노성두
레오나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이 예수님의 이세상 최후의 만찬이라고 한다면 “엠마오의 저녁 식사”는 예수님의 부활 이후 첫 번째 저녁 식사로서 렘브란드의 걸작중의 하나이다. 렘브란드는 17세기 화란 태생으로 당시 미술에서의 섹스피어라고 말할 만치 유화는 물론 드로잉과 에칭등 여러 장르에 걸쳐 천재적 재능을 발휘한 미술가였다. 그는 주로 광채와 그림자를 잘 다루면서 성경의 주제로 많은 성화를 그렸다. 이 그림은 예수님이 부활 직후 예루살렘 근처 엠마오라는 마을에서 두 제자를 만난 뒤에 날이 저물어 여인숙에 들어가 식탁에서 빵을 뗄 때 어둠 속에서 예수님이 발하는 광채를 묘사한 것 이다. 렘브란드는 작품의 중심을 항상 밝은 빛으로 묘사하였는데, 이 그림에서는 예수님 자신이 빛으로 두 제자와 여관 종업원을 압도하면서 그들의 눈이 밝아지고 어두운 세상을 상징하는 어두운 방 전체를 밝히고 있다. 그러면서 인제 가야 할 행선지인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예수님의 모습은 겸손한 자세이면서 경건함을 보여 주고 있다. 우리는 성경을 항상 상고하지만 성경 구절의 뉴앙스를 이토록 아름답고 분명하게 표현하는 미술가의 예술의 위대함을 새삼 발견하게 된다. 성경에 심취하여 살던 렘브란드는 엠마오의 이 장면을 여러번, 여러 작품으로 반복하여 제작하였는데 아마 그의 신앙과 그의 영혼으로부터 부활한 예수님이 발하는 생명의 빛을 그처럼 갈급하게 찬미한 것이라 하겠다.
(해설 임 이 섭)
렘브란트는 엠마오에서 나눈 저녁 식사를 모두 여덟 차례 다루었다. 그림 구성은 여유롭고 쾌적하다. 높은 벽 앞에 등받이가 넓은 의자가 놓여 있고, 식탁을 마주 보고 예수가 앉아 있다. '눈이 열린' 기적이 일어나기에 적당한 곳이다. 왼쪽 창문으로 비쳐든 빛이 식탁을 밝힌다. 빵을 떼는 예수의 손이 식탁 위에 놓여 있다. 여관 주인은 식탁을 응시하고, 두 제자는 예수의 얼굴을 바라본다. 식탁 차림은 조촐하다. 제자들이 자세와 표정에도 과장이 없다. 절제된 식탁과 등장인물들의 무리없는 동작은 예기치 않은 눈앞의 기적을 내면화하는 수단이다. 렘브란트는 레오나르도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서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반사 행동에 관한 회화적 규범을 배웠다
렘브란트, 엠마오의 만찬, 1628년 파리 자크마르 앙드레 미술관
「엠마오의 만찬」은 렘브란트의 예술적 성취를 가장 교과서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이다. 그림이 숯덩어리로 그린 것처럼 시커멓다. 시커멓지 않은 부분은 허옇다. 꼭 한 가지 색밖에 사용할 줄 모르는 화가처럼 그렸다. 그림 구성도 무척 단순하다. 그림을 좌우로 잘랐는데, 왼쪽은 어둡고, 오른쪽은 밝다. 그림 속의 광원은 둘이다. 엠마오의 만찬 이야기는 예수가 십자가에서 처형된 뒤에 일어난 기적을 다루고 있다. 예수의 제자들은 스승의 죽음을 목격하고는 무척 낙담해서 뿔뿔이 흩어진다. 그 가운데 두 명은 엠마오로 향했다. 그리고 길을 가다가 우연찮게 만난 사람과 길동무가 되었는데, 아니 글쎄, 저녁을 먹다가 다시 보니 낯선 길동무가 바로 조금 전에 처형당한 예수였다는 것이다. 렘브란트의 그림에서 주인공은 예수가 아니다. 이런 것은 좀 드문 일이다. 예수는 빛을 등지고 앉아 있어서 시커먼 윤곽선밖에 보이지 않는다. 한 제자는 그림 앞쪽 바닥에 무릎을 꿇었다. 그는 기적을 깨닫고 순종한다. 그러나 다른 제자는 놀란 표정으로 눈을 흡뜨고 눈앞의 기적을 의심한다. 그런데 그가 그림의 중심을 차지한 것은 그가 맡은 극중 역할의 중요성을 말해 준다. 의심하는 제자는 바로 우리들의 의지와 믿음을 비추는 진실 게임 속의 자화상인 것이다. 여기서 빛은 깨우침이고 어둠은 무지이다. 빛과 어둠의 경계에 몸을 담그고 있는 제자의 일그러진 얼굴에는 표현적 실물감과 입체적 조형감이 생생하게 살아 있다. 그에 비하면 다른 모든 등장인물들은 검은 색종이로 오려붙인 꼭두각시처럼 보인다. 여기서 빛과 어둠의 구성은 줄거리를 추동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런 것을 미술에서는 명암법이라고 부른다. 빛은 공간의 깊이와 시간의 전후를 쪼개고 붙일 뿐 아니라, 교훈성과 상징성도 내포한다. 가령 빛의 호수에 떠 있는 어둠의 덩어리처럼 표현된 예수의 휘장을 찢고 승리한 그의 존재감을 잘 드러낸다 (출처- 노성두/미술사학자)
카라바조, 엠마오의 만찬, 1601, 런던국립미술관 출처- <천국을 훔친 화가들>, 노성두
예수가 식탁의 중앙을 점유하고 가장자리에 두 제자가 앉아 있는 대칭 구성은 엠마오 주제를 다루는 근대 이탈리아 미술에서 거의 예외없이 적용된다. 카라바조는 초록 상의를 입은 제자를 식탁 왼쪽 귀퉁이로 옮겨 두었다. 등장인물을 통해서 보는 이의 시점을 대신했다. 수염과 후광이 없는 젊은 예수는 영광과 권위의 흔적을 보이지 않는다. 굳이 엠마오로 가는 길이 아니더라도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예사로운 젊은이의 모습이다. 그의 왼손이 빵 위에 놓였다. 감사 기도를 드리려고 오른손을 든 순간 제자들의 눈이 열렸다. 카라바조는 제자들의 닫혔던 눈이 열리는 기적을 합리적으로 설명한다. 빵을 나눈 뒤 들어올린 손바닥에 못 자국을 새겨 두었다. 식탁 오른쪽에 앉은 제자는 못자국을 보았을 것이다. 예수의 표정은 고요하다. 그러나 그의 존재를 알아차린 제자들의 반응은 고요할 수 없다. 양팔을 펴서 가로로 벌린 제자의 자세는 의혹과 경악을 드러낸다. 십자가에 달린 이의 자세도 이와 같았을 것이다. 오른쪽 제자의 두 팔은 바로크 시대에 그려진 가장 역동적인 단축법을 보인다. 또, 회화적 공간을 폭력적으로 점거하는 붓의 위험한 도전이다. 나아가서 보는 이를 그림 안의 사건으로 끌어들이는 거역할 수 없는 초대의 손짓이다
안나 선지자 (0) | 2005.04.22 |
---|---|
여로보암과 금송아지 (0) | 2005.04.22 |
엘리와 사무엘 (0) | 2005.04.22 |
엘리사 (0) | 2005.04.22 |
에스더와 하만 (0) | 200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