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척 성당 (경기도 광주 도척면 노곡리)

성지순례/한국 성지(카톨릭,기타)

by baesungsoo 2013. 1. 28. 16:32

본문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이 지역은 산세가 험준한 태화산을 중심으로 박해를 피해 이주한 천주교 신자들이 일찍부터 교우촌을 형성하며 신앙생활을 영위하던 곳이다. 수원의 느지지(지금의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에서 태어난 성인 장주기(張周基, 요셉) 의 후손을 비롯하여 신유박해(辛酉迫害) 때부터 수많은 순교자가 배출된 지역이다. 특히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경기 용인의 골배마실[南谷一里]에 인접한 은이 공소(隱里公所)에 잠시 머물며 인근 공소 교우들을 사목할 때 직접 전교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글 출처 - http://www.paxkorea.co.kr)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SUWONISC/HbmS/447)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도척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모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모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김대건신부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김대건신부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김대건신부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김대건신부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김대건 전교 기념성당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김대건 신부는 1845년 8월17일 상해 김가항(金家港)에서 페레올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고, 같은 해 10월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 등과 함께 충청도 강경을 통해 해상으로 조선에 입국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동년 11월부터 다음해인 1846년 4월, 은이 공소를 떠나 서해 해로를 통한 선교사 입국 통로를 개척하러 가기까지 약 6개월간 서울과 경기도의 교우촌들을 순방하였다. 이 기간 그의 사목 활동의 거점은 교구장 페레올 주교가 배려해준 덕분에 어머니 고 울술라와 동생 난식(蘭植)이 살고 있던 용인의 은이 공소였다. 김대건 신부의 생애와 활동 및 업적의 대강은 이미 선학들에 의해서 누차 소개되어 비교적 잘 알려진 편이나, 입국 후 목자로서의 사목활동에 대해서만은 아직 제대로 해명된 것이 없다. 그 이유로 우선 1845년 10월 중순 입국 후 그가 신자들과 만나서 성사를 집전하거나 공소를 순방하는 등 사목활동 기간이 1846년 4월 중순까지 6개월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입국 직후 페레올 주교가 서울에 정착하기 전까지 대략 2개월 정도를 주로 서울에서 활동을 하였던 점을 고려하면, 김 신부가 1846년 초부터 경기도 용인의 은이 공소로 가서 그곳을 중심으로 광주, 이천 등 인접 고을의 교우촌을 순방하면서 성사를 집행하거나 교리를 가르친 기간은 대략 4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이 기간 중에 김대건 신부가 사목 방문한 곳을 <79위 시복조사 증거서>에 나오는 신자들의 증언을 통해 살펴보면, 그가 주로 머물렀던 곳이 용인 골배마실로서 그의 홀어머니가 계셨던 곳이며, 순방 중에 성사를 준 곳이 용인, 양지의 터골, 이천의 동산 밑과 단내 등으로 드러난다. 이밖에도 주민들의 전언에 의하면 광주 도척면 시어골에도 방문하였다고 한다(도척본당 시어골 공소 회장 이찬우 베드로(1934년생)의 증언). (글 출처 - http://www.paxkorea.co.kr) 

 

성당내부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성당 내부                  (출처-http://cafe.daum.net/docheok1977/JoS/)  

 

제대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십자고상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설교단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감실, 독서대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내부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입구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유리화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유리화           (출처- http://cafe.daum.net/DDDKD/RLvx/) 

 

십자가 14처와 스테인드글라스 

 

 

 

 

 

 

 

 

 

 

 

 

 

 

  

 

유아실 

 

유아실 

 

유아실 

 

십자가 3처

 

십자가 5처

 

십자가 12처

 

성수대

 

정원 마리아 상

 

정원 조각물

 

정원 조각물

 

정원 조각물 

 

도척성당 (都尺聖堂)과 공소들    (출처- http://cafe.daum.net/Coreansanctus)


1977년 12월 16일 광주성당에서 분리, 설립되었으며, 주보성인(主保聖人)은 성 안드레아 김대건이다. 1920년대 초 광주군 내 공소는 서울 명동성당(당시 종현성당), 수원 의왕면 하우현(下牛峴)성당, 용인 포곡면 앞고지[前垈里]성당의 관할로 분할되어 있었다. 도척면은 앞고지 성당 관할로서 소틔, 진말, 가래실, 노루목, 바위성골, 텃골 외에 상림리에 사기소와 시어골 등의 공소가 있었다. 1927년 앞고지성당의 폐지와 함께 용인군 내사면(지금의 용인시 양지면)에 남곡리(南谷里)성당이 설립되어, 도척면 내 공소는 남곡리성당 관할이 되었다. 1940년 11월에는 이천성당이 창설되어, 소틔·진말·사기소·추곡리·유정리 등 여러 공소를 다시 관할하였다. 그 당시 이천성당 관할지역은 대부분 광주지방으로서, 그중에서도 도척면에 신자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는데, 사기소와 시어골은 신자수 100명 이상의 큰 공소였다. 그후 1958년 6월 경안성당(京安聖堂, 지금의 광주성당)이 설립되면서 광주시 내 공소는 경안성당 소속이 되었고, 마침내 1977년 12월 도척면 노곡리 공소가 광주성당에서 분리되어 성당으로 승격하였다. 도척성당은 광주·용인·이천성당에 속해 있던 공소들을 편입하여 성당 건립을 시작, 1978년 3월 착공하였으나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두 차례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본당 신자들은 물론 서울과 수원교구 소속 여러 성당의 도움으로 1979년 9월 29일, 성당과 사제관을 완공, 축성하였다. 그후 1988년 12월에는 교육관을 신축하는 한편, 사제관 옥상에 수녀원을 증축하여 1990년 7월 봉헌식을 가졌다. 1987년 수원교구 내 성남 단대동 성당과 자매결연을 맺고 농산물 직거래 등을 통한 도농간의 나눔의 장을 마련하는 한편, 본당 주보를 주변 사찰과 프로테스탄트 교회에 매주 발송함으로써 교회일치운동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 1990년 2월에는 ‘사랑의 씨튼수녀원’ 분원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8월 양로원 ‘작은 안나의 집’을 개원하여 노인들에 대한 사목적 배려를 하고 있다. 이 주변 지역이 초기 천주교회의 중요한 사적지이나 점차 잊혀져 가는 것 같다. 본당 구역내에 시어골이라는 곳과 그 주변 지역을 김대건 신부가 경유해서 전교 활동을 하였다는 옛 어른들의 전언을 간혹 기억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도 많은 교우들이 김대건 성인의 발자취를 따라 도척성당을 경유하여 미리내, 은이, 골배마실, 천진암 등으로 도보 성지순례를 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새로 건축한지 약 50년된 시어골 공소는 강당이 현재 남아 있으나 화가 개인에게 임대된 상태이며, 공소 예절은 없다. 도척 성당과 시어골 중간 지점에 있는 사기소 공소 터에는 공소는 도척 성당 건축시에 철거하고 현재는 종탑 철골만 남아 있다.


◆ 공소별 설립년도


○ 추곡리 공소 1832년

○ 바위성골 공소 1850년

○ 사기소 공소 1865년

○ 솟티 공소 1870년

○ 시어골 공소 1887년

(글 출처 - http://www.paxkorea.co.kr) 

 

시어골 교우촌 비  

 

시어골 공소, 1887년        (출처- http://cafe.daum.net/Coreansanctus)

 

 

시어골 공소 

 

시어골 공소 

 

사기소 공소 터에는 종탑만이 남아있다. 1865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