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풍성지 (충북 괴산군 연풍면 삼풍리)

성지순례/한국 성지(카톨릭,기타)

by baesungsoo 2013. 1. 27. 18:44

본문

풍성지


연풍은 갈매못에서 순교한 성 황석두 루가의 고향이며 최양업 신부의 발자취가 서려 있는 곳으로 초대 교회부터 신앙 공동체가 형성돼 있던 뿌리 깊은 교우촌이다. 연풍 마을과 문경 새재의 구석구석마다 선조들의 자취와 피의 순교 역사가 어려 있다. 연풍은 전체가 소백 산맥의 산릉에 속한 험지이고 문경군과 접경지대에 조령산과 백화산 등 소백 산맥의 주봉들이 높이 솟아 있다. 그만큼 험난하기에 예로부터 경기, 서울을 중심으로 일어난 박해를 피해 충청도와 경상도로 새로운 은신처를 찾아 나서는 순교자들의 피난의 요로로 일찍이 교우촌이 형성 됐었다. 남부여대(男負女戴)로 보따리를 싸서 박해의 서슬을 피해 연풍으로 몰린 교우들은 새재라는 천험의 도주로를 이용해 여차 하면 밤을 틈타 험준한 산 속으로 숨어들어 새재 제 1·2·3관문 성벽 밑에 있는 수구문(水口門)을 통해 문경 땅을 넘나들며 모진 박해를 피할 수 있었다. 수구문은 지금도 그대로이다. (글 출처 - http://www.paxkorea.co.kr/)

 

풍성지

 

풍성지

 

풍성지

 

 연풍성지

풍성지

 

풍성지 입구 우편 연못  

 

풍성지 입구 좌 (십자가의길, 예수성심상, 노기남 주교상)

 

예수성심상, 노기남 주교상

 

풍성지 입구 우 (성 황석두 누가 묘, 다섯 성인상, 향청)

 

예수성심상과 다섯 성인상

 

예수성심상

 

예수성심상

 

예수성심상 뒷면 

 

한국인 첫 대주교인 노기남 바오로 대주교 동상

 

노기남 대주교는 1982년 8월25일 성 황석두 루가의 전묘식을 주례하고 축성 하였는데 이것이 마지막 공식 행사였다. 

 

노기남 대주교 동상

 

노기남 대주교 동상

 

노기남 대주교 동상 

 

성 황석두 루가의 묘(1813-1866)           (출처- http://info.catholic.or.kr/pds/album/read.asp)


성인 황석두 루가는 1813년 충북 영풍현 병방골에서 양반집 3대 독자로 출생하였다. 일명 '재건'으로도 불리는 성 황석두 루가는 성장하여 부친의 뜻에 따라 과거보러 상경하던 중, 한 주막에서 천주교인과 사귀게 되어 입교했다. 그 후 부친의 반대를 무릅쓰고 3년 동안이나 벙어리 행세를 해가면서 교리서적을 탐독하였고 그 결과 박대하던 부친과 가족들도 입교하였다.   부유한 양반집 자손으로 나이 스물에 과거길에 나섰다가 '천국의 과거 시험에 급제'하고 돌아온 그는 3년 동안의 벙어리 흉내 끝에 가족들을 모두 입교시킨다. 황석두 루가는 뛰어난 덕행과 교리지식으로 신부들의 복사로 또한 조선교구의 출중한 전교회장으로서 다블뤼 주교를 도와 "영세대의" "성찰기략" "신명초행" "회죄직지" 등 중요한 교회 서적을 번역 편찬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앙에 눈뜬 뒤 고 페레올 주교에게 금욕과 절제를 위하여 아내와 별거할 것을 허락 받고 독신생활을 하였다. 이에 페레올 주교가 그를 사제로 서품하려 했으나 부인이 들어갈 정식 수녀원이 조선에 없다는 이유로 교황청의 허락을 못 받았다. 병인박해 때 1866년 3월 충청도 홍주 거더리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는 안 주교를 몇 십리나 따라가 결국 체포되어 주교와 함께 서울로 압송되었다. 서울에서 가진 고문과 회유를 받던 황석두는 참수형을 받고 순교의 날을 기다린다. 하지만 당시에 왕의 결혼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피를 흘리라는 조정의 지시에 따라 서울에서 250리 길이나 떨어진 보령의 갈매못으로 이동한다. 1866년 3월30일 성 금요일에 안 다블뤼 주교, 오메트로 신부, 위앵 신부, 장주기 요셉과 동시에 충남 보령 오천의 갈매못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54세로 순교했다.1968년 10월6일 교황 바오로6세에 의해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복자 시복을 받았다. 1980년 7월9일 괴산군 장연면 방곡리 선산에서 유해를 발굴하여 1982년 8월25일 연풍성지내로 유해를 전묘하였다. 1984년 5월6일 서울 여의도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성 황석두 루가의 묘

 

성 황석두 루가의 묘

 

성 황석두 루가의 묘

 

성 황석두 루가의 묘 

 

성 황석두 루가의 묘, 십자가 뒤의 조형물은 갈매못에서 순교한 황석두 성인을 포함한 다섯 성인들을 상징하고 있다.

 

성 황석두 루가의 묘

 

다섯 성인상과 반석


성인 황석두 루가와 함께 순교한 다섯 성인의 순교사는 다음과 같다. 병인양요때 불란서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하였으나, 조선군은 이를 물리치고 나서 불란서군이 진출하였던 양화진 절두산에서 1866년 10월에 수천명의 신자들을 목베어 죽였다. 같은 이유로 충남 보령 오천은 서양인 처형 장소로 선정되었다.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대원군은 경북궁을 다시 짓는 바람에 백성들의 원성을 듣게 되엇다. 거기다 북방에서 침략을 일삼는 러시아와 담판을 짓기 위해 불란서 주교를 불렀으나 공소에 나가 있던 주교가 이를 알지 못하여 지체하게 된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대원군은 드디어 박해를 일으킨다. 조선 제5대 교구장이엇던 다블뤼 안 주교는 대원군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만나려 했으나 실패하자 내포로 돌아와 전교에 힘쓰던 중 뜻밖에도 신부와 교우들이 마구 잡혀 처형된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관에 나가 잡힐 마음을 굳히고 있었다. 얼마 후에 포졸들이 그가 머물던 합덕 거더리 마을로 왔을 때 잡힐 것을 예상, 동료 오 신부, 민 신부에게 자수를 권하는 편지를 보내 합덕 거더리에서 함께 포졸에게 잡혀 서울로 압송되었다. 1845년 조선 땅에 입국한 다블뤼 주교는 조선 교구 4대 교구장이었던 베르뇌 주교의 순교로 1866년 3월 7일 제5대 조선 교구장으로 임명됐다가 4일 만인 11일 그의 복사였던 황석두 루가와 함께 내표 지방에서 체포되었던 것이다. 다블뤼 주교의 체포 소식을 들은 오메트르 신부와 위앵 신부도 자진해서 잡혀 서울로 압송됐다. 그러나 때마침 고종이 병을 앓게 되고 국혼(國婚)도 가까운 시기여서 조정에서는 서울에서 사람의 피를 흘리는 것은 좋지 못한 징조라 하여 이들을 250여 리 떨어진 보령 수영(保寧水營)으로 옮겨 처형하기로 했다. 이렇게 해서 이들 네 명은 갈매못으로 향하는 250리 죽음의 행진을 떠나게 됐는데 여기에 배론 신학당의 집주인 장주기가 합세, 모두 5명이 함께 자진해서 죽음을 향해 떠나갔다. 이들 세 성직자와 두 전교회장이 갈매못을 향해 가는 도중에 길목인 내포 땅 아산군 음봉면 길가의 바위 위에 걸터앉아 막걸리로 목을 추기고 마지막 설교를 한 다음 성가를 부르며 끌려갔다는 대목은 장엄하기 까지 하다. 그 때 그 바위는 지난 1973년 음봉 삼거리에서 절두산 순교자 기념관 광장으로 옮겨져서 '복자 바위'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1984년 다섯 분 모두 성인품에 오른 후 '오성 바위'라고 고쳐 부르고 있다. 3월 30일 수난주일 충청 수사(水使) 앞에서 배교를 거부한 안주교가 제일 먼저 칼을 받았고, 이어 오 신부, 민 신부, 황 루가, 장 요셉이 차례로 치명하였다. 이때 다블뤼 주교는 조선에 입국한 지 21년이 되고, 전임 베르뇌 장 주교를 도와 9년간 부주교직에 있다가 조선교구의 제 5대 교구장이 된지 21일 되는 날이었다. 이들 5인의 순교 성인 중 황석두 루가 성인의 유해는 가족들이 거두어 연풍에 안장했고 나머지 네 분의 유해는 사흘 뒤 사형장 부근에 매장됐다가 홍산으로 옮겨졌고 브랑 신부에 의해 일본 나가사키로 이장, 다시 1900년에 명동 대성당, 1960년대에 시성 시복 운동이 전재되면서 절두산 순교성지에 안장됐다.  

(글 출처- http://www.paxkorea.co.kr)  

 

 다섯 성인상과 반석

 

다섯 성인상과 반석

 

다섯 성인상과 반석, 좌측에 무릎 꿇어 기도하는 분이 황석두 루가이다.  

 

다섯 성인상과 반석 

 

황석두 루가  

 

옛 연풍 향청 (연풍공소)

 

연풍 성지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963년 연풍공소로 옛날 향청 건물을 사들이게 되면서 부터이다. 3백년된 이 건물을 매입할 당시만 해도 이곳이 순교 터라고는 아무도 생각 못했다. 하지만 매입후 논과 집터 정리 작업 중에 박해 때 죄인들을 죽이는 도구로 사용된 형구돌이 3개나 발견됐다. 또 1968년 시복식 후 황석두 성인의 고향이 연풍으로 드러남에 따라 성지 개발이 가시화 됐다. 1979년에는 평해 황씨 문중산에 묻힌 황석두 성인의 유해를 확인, 1982년 연풍성지로 이장했다. 

 

연풍향청 

 

연풍향청

 

연풍향청 공소제대

 

연풍향청 대문(좌)과 공소사택(우)  

 

연풍향청 성모상

 

향청 앞 형구돌, 향청에서 발굴된 3개의 형구돌 중 하나이다.

 

현풍성지에서 3개의 형구돌을 발굴 하였는데 첫번째 것(1963)은 절두산 성지에 기증, 보관돼 있으며, 두번 째 형구돌(1972)은 성지내 형방건물 정면쪽에 그리고 세번째 형구돌(1992)은 대형 십자가가 있는 치명터로 부터 바로 50m 지점에서 발굴되어 성지내에 전시되어 있다. 형구돌은 직경 1m, 둘레는 4-4.5m의 크기이며 바위돌 가운데에는 직경 25-30cm, 뒷직경 7cm의 원추형 구명이 뚫려 있다.

 

입구에서 시작하여 대형 십자가 공원으로 연결되어있다. 

 

1처

 

1처

 

2처

 

3처

 

4처

 

5처

 

6처

 

7처

 

8처 

 

9처

 

10처

 

11처

 

12처

 

13처

 

14처 

 

대형 십자가 공원

 

 

대형 십자가 공원

 

야외제대와 대형십자가

 

대형십자가와 황석두 루가상

 

야외제대와 순교현양비

 

 순교현양비

 

순교현양비

 

순교현양비

 

대형십자가

 

대형십자가와 치명터

 

대형십자가

 

대형십자가, 성모상과 성 요한상

 

대형십자가

 

성모상

 

성 요한상

 

성모동산

 

성모동산과 형구돌

 

성모상

 

성모상 

 

형구돌

 

성인 황석두 루가상 

 

성인 황석두 루가상 

 

성인 황석두 루가상 

 

경당과 사무실

 

경당과 사무실

 

경당과 사무실

 

경당과 사무실

 

경당내부

 

경당 제대

 

십자고상

 

경당 성모상

 

제대 순교화

 

경당 스테인드글라스

 

경당 미사종 

 

제대 우편

 

경당 스테인드글라스

 

성인 황석두 영정

 

경당 감실

 

성 황석두 그림

 

경당 우측 벽면

 

경당 우측 전시물

 

십자고상

 

성인 황석두 가족화

 

평해 황씨 족보

 

성 오메뜨르 베드로 신부 유해

 

황석두 루가 성인의 유해(목뼈)

 

황석두 루가 성인 유해의 칠성판 일부

 

족쇄, 신명초횡

 

정해황씨 족보

 

정해황씨 족보 

 

황석두 성인이 번역한 신명초횡(1864년, 신심 묵상서)

 

음봉면 주먹거리

 

음봉면 주먹거리

 

음봉면 주먹거리

 

연풍성지에서 발굴된 형구

 

다섯 성인 사진 

 

경당 좌측 벽면

 

옛 향청 보수공사

 

옛 향청 내부 구치소 자리

 

옛 향청 건물 사진

 

옛 향청 건물 

 

향청 사진

 

옛 성지 사진

 

성 황석두 영정

 

경당 내부 십자가 14처

 

 

 

2처 

 

3처

 

4처

 

5처

 

6처

 

7처

 

8처

 

9처  

 

10처

 

11처 

 

12처

 

13처

 

14처 

 

연풍 동헌


연풍 동헌은 조선시대 연풍현의 청사로 사용되었다. 연풍은 본래 상모현으로 고려초기에 장연현으로 바뀌고, 조선 초기에 장풍현과 합하여 연풍현으로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면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건물은 현종 4년(1663)에 처은 지었다. 연조 42년(1766)에 새로 고쳐지어 "풍락헌" 이라는 판을 걸어 일명 풍락헌이라고도 한다. 1920년에는 연풍 초등학교의 교사로 사용되었고, 1965년에 중수하여 1972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 하였다. 정면 5칸, 측면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집이다. 이곳에서 천주교인들을 박해하였고 인근 향청에서 참수하였다.

 

연풍 초등학교 100년 기념비와 연풍 동헌 건물  

 

연풍 동헌 

 

풍락헌으로도 불린다

 

최양업 신부와 연풍성지


김대건 신부와 함께 마카오에 유학해 13년간의 각고 끝에 사제품을 받은 그는 1849년부터 12년간 새재를 넘나들며 이 지역에 신앙의 꽃을 피운다. 은신처로서 새재의 장점을 십분 활용한 그는 김대건 신부가 1년 남짓 사목한 데 비해 오랫동안 은밀하게 복음을 전하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새재 아랫마을인 문경읍 진안리의 어느 주막에서 갑자기 병을 얻어 선종했다는 최 신부는 생전에 쉴 새 없이 넘나들던 새재의 연봉인 배론 신학당 뒷산에 �겨져 묻힌다.


칼레 신부와 연풍성지


연풍에는 또 한가지 웃지 못할 일화가 전해진다. 병인박해로 한국 교회는 9명의 성직자를 잃었다. 천신만고로 세 명의 선교사가 목숨을 건졌는데 그중 칼레 신부에 얽힌 이야기가 그것이다. 달레의「한국 천주교회사」에 의하면 칼레 신부가 연풍을 지나다가 포졸들에게 발각돼 도망 치다가 붙잡히려는 찰나에 그만 전대가 풀어져 돈이 떨어졌다. 그를 쫓던 포졸들은 돈을 줍느라 정신이 없었고 그 틈에 간신히 도망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