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 Thor>
Thor's Battle Against the
Jötnar (1872) by Mårten Eskil Wing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고대 게르만족(族)의 신으로, 독일에서는 도나르(Donar)라고 한다. 던지기만 하면 반드시 적을 쓰러뜨린다는 ‘묠니르’라는 철퇴를 휘둘러 거인족과 싸웠고, 또한 그 묠니르를 쥐는 쇠장갑과, 매면 힘이 배가(倍加)하는 역대(力帶)를 가지고 있으며, 비루스크닐(번개의 뜻)이라는 540개의 방이 있는 광대한 저택에 살고 있다. 거인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에다》에 의하면 오딘의 아들이라고도 하나, 오딘보다 오래 된 신인 듯하며, 웁살라의 옛 신전에서는 그의 상(像)이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오딘이 귀족전사(貴族戰士)의 수호신인 데 비해 그는 농민의 수호신으로서, 몽둥이를 휘둘러 그들의 결혼이나 장례를 정화해준다. 그래서 보통 토르는 오딘보다 대중적인 신으로 숭배되어 왔다. 현재의 신화에서는 대식가에 술고래로, 다소 지혜가 모자라고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에 관한 신화는 많으나 거인의 왕 우트가르달 로키를 찾아 요툰하임에 가서 팔씨름을 하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한편, 영어의 목요일은 ‘토르의 날’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Thor is unhappily dressed by the goddess Freyja and her attendants as herself in Ah, what a lovely maid it is! (1902)
by Elmer Boyd Smit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Thor wades through a river while the Æsir ride across the bridge Bifröst (1895) by Lorenz Frølic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The foretold death of Thor as depicted (1895) by Lorenz Frølic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Týr looks on as Thor discovers that one of his goats is lame in the leg (1895) by Lorenz Frølic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Thor raises his hammer as Loki leaves Ægir's hall (1895) by Lorenz Frølic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A 16th-century depiction of Norse gods by Olaus Magnus; from left to right, Frigg, Thor, and Odi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The Altuna stone from Sweden, one of four stones depicting Thor's fishing trip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Detail of swastika on the 9th century Snoldelev Ston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A runestone from Södermanland, Sweden bearing a depiction of Thor's hamme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The Gosforth depiction, one of four stones depicting Thor's fishing trip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The Sønder Kirkeby Runestone (DR 220), a runestone from Denmark bearing the "May Thor hallow these runes!" inscriptio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Runes × þur : uiki × on the Velanda Runestone, Sweden, meaning "may Þórr hallow."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Drawing of a silver-gilted Thor's hammer found in Scania, Swede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Sign for the village of Thursley in Surrey, England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An early 20th century Danish bicycle head badge depicting Tho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
A city limit sign marking Thorsager ("Thor's Acre"), Denmark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hor)
<티르, Tyr>
Týr, depicted here with both hands intact, before the encounter with Fenrir is identified with Mars in this illustration from an 18th-century Icelandic manuscrip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C3%BDr)
튀르(Tr)라고도 하는데 티르는 북유럽신화에서의 이름이고, 원래는 티바스이다. 로마신화의 유피테르와 같은 근원을 가지고 있어, 처음에는 천신(天神)으로서 신들의 우두머리였으나, 유사시대(有史時代)에는 그 지위를 오딘에게 양보하고, 전쟁 및 그에 관한 법의 수호신이 되었다. 라틴어의 화요일(Martis dies:군신 마르스의 달)이 게르만제어(諸語)로는 예컨대 영어의 화요일(Tuesday)처럼 '티르의 날'로 되어 있는 것만 보아도 그것을 알 수 있다. 북유럽신화에서는 외팔의 신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신들이 괴랑(怪狼) 펜리르를 속여서 잡아 묶으려고 할 때, 의심하는 펜리르를 안심시키기 위해 그가 담보로 한쪽 팔을 그 늑대의 입안에 넣었다가, 계략을 알아차린 늑대에게 그 팔을 먹혀버렸기 때문이다. 세계 종말의 날에 저승의 문을 지키는 괴견(怪犬) 가름과 싸워 둘 다 함께 죽었다.
"Týr" by Lorenz Frølich (1895)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C3%BDr)
Tyr sacrifices his arm to Fenrir in a 1911 illustration by John Baue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C3%BDr)
The altar dedicated to Mars Thingsus, erected in the 3rd century in Housesteads, Northumberland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C3%BDr)
<프레이르, Freyr, Frey, Yngvi>
A detail from Gotland runestone G 181, in the Swedish Museum of National Antiquities in Stockholm. The three men are interpreted as Odin, Thor, and Frey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원래는 대지(大地)의 생산력과 관계가 있는 바나 신족(神族)의 일원이었으나, 나중에 오딘을 주신(主神)으로 하는 전투적인 에시르(아사) 신족에 속한 후에도 풍양신(豊穰神)의 성격은 잃지 않았다. 그는 거인의 아름다운 딸 게르드를 연모하여 종자(從者)인 스키르닐을 구혼의 사자(使者)로 내세워 마침내 그녀를 아내로 삼았다. 그는 사자에게 자신의 명검(名劍)을 주어 그의 노고를 치하하였는데, 그로 인해 세계 종말의 싸움에서 무기 없이 불의 거인 수르트와 싸우다가 죽었다. 그의 탈것은 황금의 사자(獅子)가 끄는 수레와 언제나 순풍을 부르는 배이다. 이 배는 쓰지 않을 때 조그맣게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웁살라에 있었던 그의 신전(神殿)은 유명하며, 옛 스웨덴 왕가(王家) 윙글링(Yngling)은 그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The Skog Church Tapestry portion possibly depicting Odin, Thor and Frey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The final battle between Freyr and Surtr, illustration by Lorenz Frølic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The Lovesickness of Frey" (1908) by W. G. Collingwood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In Freyr's Temple near Uppsala" (1882) by Friedrich Wilhelm Hein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Seated on Odin's throne Hliðskjálf, the god Freyr sits in contemplation in an illustration (1908) by Frederic Lawrenc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Yngvi-Freyr constructs the Temple at Uppsala in this early 19th century artwork by Hugo Hamilto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Freyr" (1901) by Johannes Gehrts.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reyr)
<트롤, troll>
Look at them, troll mother said. Look at my sons! You won't find more beautiful trolls on this side of the moon. (1915) by John Baue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T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