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슈누의 10 화신(ten avatar of Vishnu)

남성신,신화/힌두교,자이나교

by baesungsoo 2014. 1. 16. 14:20

본문

 

10화신 전설도, 18세기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

 

Dasavatar, Andhra Pradesh, 19th century. India. (Combined version of two pieces of a scroll painting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Dasavatar,_19th_century.jpg)

 
1) 마트스야(Matsya : 큰 물고기)

 

Matsya, Central India, 9th - 10th century. British Museum.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비슈누의 첫번째 화신인 물고기의 기원은 브라흐마나의 홍수 신화이다. 인류의 시조(Manu)가 물고기로부터 조만간 발생하게 될 대홍수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그 말대로 큰 홍수가 났다. 마누는 미리 준비한 배를 타고 큰 물고기의 도움을 받아 히말라야의 가장 높은 봉우리에 도착하였다.세상을 삼켰던 물이 빠진 뒤에 마누는 산에서 내려와 제사를 지내고 다시 인류를 창조하기 시작 했다는 것이다. 물고기가 마누를 구제한다는 이 홍수 신화는 서사시나 푸라나에 전수되어 결국 비슈누의 화신이 되었다

 

Matsya with the Vedas as infants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Matsya pulling Manu's boa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Description Painting of Matsya, the fish-incarnation of Viṣṇu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Matsya pulls Manu's boat after having defeated the demo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Matsya preparing to slay the demo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Matsya) 

  

2) 쿠르마(Kurma : 거북이)

 

Incarnation of Vishnu as a Turtl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urma)

 

거북이의 화신도 그 기원은 프라자파티(생물의 主)가 거북이의 모습으로 세계 창조를 하였다는 브라흐마나의 신화이다. 푸라나에 의하면 세계가 파멸할 때, 큰 홍수가 나서 신들은 많은 보물을 잃어 버렸다. 이 때 비슈누는 거북이가 되어 바다 밑으로 잠수하여 그의 등에 만다라(Mandara) 산을 짊어지고 대지를 지탱하였다. 그리고 악마의 신들로 하여금 바다를 휘젓도록 하였다. 이처럼 비슈누는 거북이로 변신하여 신들이 우유의 바다로부터 만들어낸 아므리타(Amrta:불사약)등의 여러 귀한 물건을 휘젓는 일에 일조 했다.

 

Kurma Avatar of Vishnu, below Mount Mandara, with Vasuki wrapped around it, during Samudra manthan, the churning of the ocean of milk. ca 1870.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urma) 

 

3) 바라하(Varaha : 멧돼지)

 

Zoomorphic Varaha, Khajuraho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악마 히란나약사(Hiranayaksa: 황금의 눈이란 뜻)가 대지를 바다 밑으로 침몰시겼을 때 1000년 동안의 끈질긴 싸움 끝에 대지를 그의이빨로 물고 다시 끌어 올렸다. 이처럼 대지를 지탱하여 인류를 구제했다고 한다. 이 멧돼지의 전설은 브라흐마나에 그 기원을 두고 있지만 원주민의 동물 숭배를 통하여 발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머리가 멧돼지로서 왼쪽 겨드랑이에 대지를 나타내는 여성을 끼고 있고, 양발로 용과 거북이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Coin with Varaha (Vishnu Avatar) on a Gurjara-Pratihara coin 850-900 CE, British Museum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Rock-cut sculpture of Varaha at the Udayagiri Caves, near Vidisha, carved when the city was a provincial capital of the Gupta Empire. one of the earliest anthropomorphic sculptures shows Bhudevi clinging to Varaha's tusk as Varaha emerges from the ocea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Varaha stands on Nagas, rises from the waters with the earth (Bhudevi) on his elbow, National Museum, New Delh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Varaha tramples the fallen demon with Bhudevi on his shoulder, Hoysaleswara Templ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A rare left-facing Varaha holding Bhudevi, Mahabalipuram relief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Varaha, c. 1740 Chamba painting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raha) 
 

4) 느리싱하(Narasimha, Narsingh, Narasingha : 半人半獅子)

 

Lord Narasimha statue on walls of Simhacalam Templ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절반은 인간, 절반은 사자의 모습으로 변신하고 악마 히란니야카시푸(Hiranyakasipu ; 히란나약사의 쌍둥이 동생)를 퇴치하는 비슈누를 나타낸다. 브라흐마의 은총에의해 신, 인간, 야생동물의 어느 것에도 살해되지 않는 힘을 부여받은 이 악마는 그의 아들 프라홀라다(Prahlada)가 비슈누를 신앙한다 하여 아들을 살해하려고 한다. 이 때 비슈누 신이 절반은 사람 절반은 사자의 모습으로 나타나서 이 악마를 가볍게 퇴치해 버렸다. 이 악마는 라바나(Ravana)로 재생했다고 한다. 10가지 화신 가운데 이들 네 동물의 화신은 소멸기(kali-yuga)인 우주가 파괴되는 시기에 나타나 다음에 오는 생성기(krta-yuga, sata-yuga)를 맞게 된다고 한다.

 

Viṣṇu as Narasiṁha kills Hiraṇyakaśipu, stone sculpture from the Hoysaleswara Temple in Halebidu, Karnatak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Lord Narasiṁha rock statue backyard simhachalam templ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ṁha claws Hiraṇyakaśipu at Banteay Srei in Cambod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ṁha kills Hiraṇyakaśipu, as Prahlāda and his mother bow before Lord Narasiṁh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Yoga Narasiṁha form at a temple in Vijayanagara, Hampi, Ind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Lord Lakṣmī Narasiṁha Swamy at ŚRĪ HARI VAIKUṆṬHA KṢETRA Bangalor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ṀHA MERU at ŚRĪ HARI VAIKUṆṬHA KṢETRA Bangalor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mha killing Hiranyakashipu on his lap, as Prahlada watches at the lef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mha statue at National Museum, New Delh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Narasiṁha deity in Bhaktapur Darbar, Nepal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The Nṛsiṁha Yatra of Lalitpur, Nepal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A representation of Śrī Narasiṁha in Kadiri. Andhra Pradesh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Narasimha_oil_colour.jpg)

 

5) 바마나(Vamana : 난장이)

 

 

Dwarf Vamana avatar at Rani ki vav, Patan, Gujara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mana)

 

앞의 네 화신과 같이 우주의 창조와 관련이 있다. 우주의 제 2기 유지기(treta-yuga)에 악마 발리(Bali)가 삼계(三界)를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비슈누는 난장이가 되어 나타나서 발리에게 세 걸음만큼의 땅을 달라고 요구 하였다. 자신의 힘을 과신한 발리는 이를 허락하였다. 그러자마자 왜소한 난장이는 거대한 모습으로 변하여 세 걸음(trivikrama)을 걸었다는 것은 이미 [리그베다]에 언급되어 있다. 그의 세 걸음으로 인해 우주의 삼계가 창조되었다. 이것이 브라흐마니를 거쳐 서사시와 푸라나에 이르러 그가 비슈누의 다섯 번째 화신이 된 것이다.

 

 

Indian - Dwarf Form of Vishnu - Walters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mana)

 

Vishnu as Trivikrama, Mahabalipuram relief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mana)

 

Vamana as Trivikrama, depicted having three legs, one on the earth, a second raised

in the heavens and a third on Bali's head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mana)

 

 

Vamana avatar with King bal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Vamana)

 

6) 파라슈라마(Parasrama : 勇士)

 

Lord Parashurama with Saraswat Brahmin settlers demanding Varuna make the seas recede to save the lands of Konkan and Keral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파라슈라마는 도끼를 가진 라마라는 뜻이다. 그는 도끼를 휘둘러서 교만한 왕족을 넘어뜨리고 브라만에게 승리를 안겨 주었다. 우주의 제2기 유지기(treta-yuga)에 비슈누는 브라만인 자마드아그니(Jamadagni)의 아들로서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크샤트리아의 카르타비르야(Karttavirya)에게 아버지가 살해되자 그는 도끼를 휘둘러 아버지의 원수를 번째 화신이 된 것이다.

 

Meeting of Rama and Parashuram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Bhishma taking the bhishana pratigy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Parashurama returning with the sacred calf with Jamadagni cautioning him to not be controlled by ange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Dattatreya, embodiment of the holy trinity Trimurti, whom Kartavirya worshiped and who would later deliver the Tripura Rahasya to Parasuram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Paraśhurāma fighting the thousand-armed king Kartaviry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A painting by Raja Ravi Varma depicting Parashurama with his ax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Parashurama)

 

7) 라마 (Rama = 英雄 : 라마 왕자)

 

Ravana kidnapping Sita while Jatayu on the left tried to help her. 9th century Prambanan bas-relief, Java, Indones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단순한 구원의 영웅 라마로서가 아니라 최고의 신으로 받드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와 같이 라마 신앙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비슈누의 화신인 한 영웅으로서의 라마에 대한 숭경이며, 또 하나는 라마를 최고의 신으로 받들고 라마에게만 봉헌하는 예배이다. 모든 힌두교도의  모범이 되고 있다. 라마의 부인 시타도 그와 함께 힌두교도들에게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라마에게 정절을 다하고 성스러운 의무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그녀는 힌두교도 아내의 귀감이 되었다. 라마가 비슈누 신의 화신이듯이, 그녀도 비슈누 신의 부라마는 2대 서사시의 하나인 [라마야나](Ramayana)의 주인공으로서 마왕 라바나(Ravana)를 죽인 영웅이다. 이 서사시에서는 라마의 출생 이야기를 통해 라마가 비슈누의 화신임을 분명히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아요디야(Ayodhya) 왕국의 다샤라타(dasaratha) 왕게는 왕위를 계승할 왕자가 마땅치 않아서 자식의 탄생을 기원하는 말의 희생제를 지냈다. 이 때 천계(天界)에서는 온갖 나쁜 짓을 일삼고 있는 악마왕 라바나를 퇴치하는 일이 문제였다. 그래서 브라흐마 신의은총으로써 불사신이 된 라바나를 멸망시키기 위하여 비슈누는 다샤라타 왕의 아들 라마의 모습으로 이 지상에 나타난다. 라마는 인도 민중에게 예로부터 친숙한 영웅이란 점을 감안할 때 라마가 비슈누의 화신이 된 것은 일반 민중이 비슈누 신앙을  널리 수용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렇게 [라마야나]에서의 라마는 고난을 잘 이겨내고, 전쟁에서는 용맹스럽고, 아내를 사랑하면서도 성스러운 의무(옴금)에 충실함으로써 비슈누 신의 한 화신으로 간주되게 되엇다.그리하여 그의 이름은 때대로 신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으며인 락슈미의 화신인 것이다.  현재 전 인도에는 [라마야나]의 각종 이본(異本)들이 혼재함으로써 라마에 대한 신봉도 각양 각생이다.  

 

The epic story of Ramayana was adopted by several cultures across Asia. Shown here is a Thai historic artwork depicting the battle which took place between Rama and Rava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 and Sita worship the Shiva Lingam at Rameswaram as his companions Vibhishana (right) looks on with Lakshamana, Tumburu and Narada along with the Vanar Se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 with Sita on the throne, their children Lava and Kusha on their laps. Behind the throne, Lakshamana, Bharata and Shatrughna stand. Hanuman bows to Rama before the throne. Valmiki to the lef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Ahalya offering fruits and flowers to Rama - her saviour, a 5th-century AD Stone sculpture from Deogah, currently in the National Museum, New Delh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Lava and Kusa, the sons of Rām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Lord Rama with arrows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 portrayed as exile in the forest, accompanied by his wife Sita and brother Lakshma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 launched at his foe a fearsome a bolt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avataram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Rama fighting his sons Lava and Kush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Coronation of Rama with Sita (center on the throne), surrounded by his brothers

and other deities including Hanuman (bottom left(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Valmiki composing the Ramaya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Rama)

 

8) 크리슈나(Krishna)

 

 

14th-century Fresco of Krishna on interior wall City Palace, Udaipur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힌두의 신들 중에서 가장 인도 대중에게 인기가 있고 친숙한 신이 바로 크리슈나(검다는 말에서 유래함) 신이다. 그리고 비슈누의 화신 중에서 크리슈나는 가장 중요하다. 라마도 널리 숭배되고 있지만, 크리슈나는 비슈누의 화신으로서 혹은 개별의 신으로서 라마 이상으로 널리 숭배된다. 근원을 달리하는 갖가지 토착 신앙이 크리슈나에 포함되어 크리슈나 신화는 더욱 더 풍요롭게 되었다. 그리고 갖가지 전설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크리슈나 신화가 완성된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다. 어린아이로서의 크리슈나, 소치는 여인과 즐기는 크리슈나, 인드라 신과 싸워서 소를 지키는 목동 크리슈나, [바가바드 기타]에 나오는 영웅으로서의 크리슈나, 그리고 사랑하는 아내 라다 (Radha)와의 사랑의 유희(LiLa)를 즐기는 쿠리슈나 등은 모두 그 근원을 달리하는 독립된 전승이며 민간신앙이었던 것이다.  한편 방대한 민담에서 주인공으로 나타나는 크리슈나는 쾌활한 아이이다. 인도인들은 어린 시절 창고에 드나들면서 버터를 훔쳐먹곤 하는 푸른색의 몸을 가진 통통하고 장난기스런 어린 크리슈나의모습을 사랑스럽게 여긴다. 많은 인도 여성들이 토실토실한 아기 크리슈나상을 보며 예배를 올린다. 그러나 크리슈나의 가장 인상적인 모습은 매력적인 목가의주인공으로 등장할 때이다. 대부분의 민담에서 크리슈나는 활달하고 호색적인 목동으로 묘사된다. 크리슈나가 소 떼사이를 거닐면서 아름다운 피리 소리로 황홀한 곡조를 실어 보내면 고피(Gopi)들은 사랑에 흠뻑 빠져들게 된다. 그는 피리를 불어 여성을 매료시킨 것이다. 그러면 크리슈나는 이 처녀들과 열렬한 사랑의 놀이를 한다. 그 많은 처녀들 가운데에서도 크리슈나는 라다라는 아름다운 여인을 가장 좋아한다. 12세기 이후에는 박티(bhakti) 신앙의 기반 위에서 크리슈나의 이러한 에로틱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여기에서는 사랑 이야기 묘사에 치중하고 있지만, 샥티즘(Shaktism)과 약간의 비슷한 점을 지니고 있다.

 

Butter eating Krishna, Tanjore painting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Navaneeta krish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Shree Krishna statue at the Sri Mariamman Temple, Singapor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Yashoda bathing the child Krish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Mediating between the Pandavas and Kauravas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The hunter Jara about to shoot arrow towards Krishn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Bala Krishna dancing, sculpture from National Museum, New Delh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in Balinese Wayang form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with his two principal queens. (From left) Rukmini, Krishna, Satyabhama and his vahana Garud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and Pradyumna battle the demon Nikumbha who assumes the form of bird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displays his Vishvarupa (Universal Form) to Arjuna on the battlefield of Kurukshetr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breaks his vow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Temple car carving of Krishna playing flute with Radha, suchindram, Tamil Nadu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holding Govardhan hill as depicted in Pahari painting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Krishna with cows, herdsmen and Gopis, Pahari painting [Himalayan] from Smithsonian Institution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rishna)

 

9) 부다(Buddha)

 

A statue of the Buddha from Sarnath, 4th century C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아홉 번째 화신으로서 불교의 개조(開祖) 부다를 드는 것은 불교와 힌두교의 융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앞에서 본 대로 힌두교의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에 대한 푸라나의 설명은 모두 힌두교의 입장에 의한 것이다. 이는 불교의 사상적인 면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 또한 비슈누가 부다가 되어 이 세상에 출현하여 악마와 악인을 파멸시켰다는 주장은 인도 정통파 측에서 보는 불교관이라고 생각된다. 부다가 비슈누신의 아홉 번째 화신으로 흡수된 것은 힌두교 속에 투영된 불교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다. 한편, 부다가 비슈누의 화신으로 간주되고 만 것은 불교가 힌두 세계에서 더 이상 특색 있는 종교로서의 근거를 상실하는 계기가 된다. 현재 힌두교도들은 부다를 비슈누 신의 아홉 번째 화신이라 믿고 있어, 그들에게 있어 부다는 힌두교의 주신(主神) 비슈누 그 자체인 것이다.

 

 

Buddha with his protector Vajrapani, Gandhāra, 2nd century CE, Ostasiatische Kunst Museum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Departure of Prince Siddharth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Reclining Buddha in Jade Temple, Shangha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The sharing of the relics of the Buddha, Zenyōmitsu-Temple Museum, Tokyo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Prince Siddhartha shaves his hair and becomes an ascetic. Borobudur, 8th century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Enlightened Buddha with disciples - Traditional Image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Lord Buddha at Pandavleni Caves located about 8 km south of Nashik, Maharashtra, Ind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Gautama_Buddha)

 

10) 칼키(Kalki)

 

Stone plaque of Kalki from the 18th century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alki)

 

칼키는 암흑의 시대인 파괴기(kail-yuga)가 끝날 무렵에 손에는 빛나는 불칼을 든 채 백마를 타고 나타나는 미래의 화신이다. 그는 사악함을 물리치고 정의를 재건하여 생성기(krta-yuga)의 법(옴금)에 따르는 자를 구원한다고 한다. 결국 칼키는 현상태로서의 우주의 파괴기에 나타나 자신 속에 모든 선(善)을 거두어들인 후 다음 단계의 우주 생성기가 될 때 다시 선과 질서를 우주에 펼쳐 내는 임무를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칼키는 일반 민중으로부터 미래의 구세주로 추앙 받고 있다

 

Kalki Avatar Punjab Hills, Guler, c. 1765        (출처-http://en.wikipedia.org/wiki/Kalki)

 

 

Kalki    (출처-http://www.yoga-philosophy.com/eng/kalki/Kalki_1a.jpg)

'남성신,신화 > 힌두교,자이나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신 나가 (snake god Naga. Angkor What)  (0) 2014.01.22
비슈누(Visnu)  (0) 2014.01.17
시바(Shiva)  (0) 2014.01.16
야마 (Yama)  (0) 2014.01.16
인도 자이나교 마하비라(Jainism, Mahāvīra)   (0) 2014.01.1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