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Hera_Campana_Louvre_Ma2283.jpg)
그리스의 우주 최고의 신인 제우스의 아내로서 천계의 왕비이다. 이오니아 방언으로는 헤레라고 한다. 헤라라는 이름은'귀부인'을 의미하며, 영웅(히어로)이 나 전사를 뜻하는 헤로스의 이상형이라고 생각된다. 그녀에게 바쳐진 성조는 '허영'의 상징인 공작이며, 결혼과 어린이와 여성의 생활이 그녀의 수호분야이다. 헤라가 태어나 자, 곧 다른 형제들과 같이 아버지인 크로노스가 삼켜버렸다. 이것은 크로노스가 자식들에게 왕위를 빼앗길까 두려워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섯째로 태어난 제우스만은 어머니와 할머니 인 가이아의 재치로 무사했다. 성장한 제우스는 여신과 님프 및 인간들과 잇달아 정을 통했으나, 정식 아내로는 헤라를 택했다. 헤라는 누가 무어라하건 천상의 여왕이었다. 그러나 남편인 제우스는 그녀와 대등한 입장에 있으려 하지 않고 우위를 고집했다. 이 때문에 그녀는 남편과 대립하기도 하고, 또 필요한 경우에는 음모를 꾸몄다. 제우스는 분에 못이겨 떄떄로 그녀를 엄하게 벌했다. 가령 헤라가 헤라클레스를 집요하게 학대했을 떄, 제우스는 아내의 두 손을 묶고 발에 추를 단뒤 올림포스의 정상에 매달았다. 헤라의 탄생에 대해서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녀는 우라노스가 삼켰다가 토해내자, 오케아노스와 그 아내인 테티스가 데려다가, 신들이 티탄 신족과 싸우는 10년동안 그녀를 양육시켰다는 설도 있다. 또 아르카디아 지방에는 강의 신인 아스테리온의 딸들이 그녀를 양육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헤라 는 포세이돈과 싸워 아르고스의 수호신이 되고 그 지방에 있는 아스테이론, 이나코스, 케피소스 등 강의 신들도 헤라에게 그 일대에 대한 지배권을 맡겼다. 그러자 포세이돈은 이에 원한을 품고 세 강의 물을 마르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역을 물에 잠기게 만들었다. 그러자 헤라가 포세이돈을 달래어 겨우 그의 분노를 진정 시켰다는 신화도 아르고스 지방에 전해져 내려온다. 히키누스는, 크로노스가 헤라를 삼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머니인 레아를 대신하여 동생인 제우스를 구하고 아버지 몰래 그를 양육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헤라의 결혼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설이 있다. 데우스는 아르고스 부근의 숲을 거닐고 있던 헤라를 보자 폭풍을 일으키고, 자기는 비에 젖지 않은 뻐꾸기로 변신하여 헤라의 옷에 달라붙었다. 그위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와 사랑을 고백한 끝에 맺어졌다는 설이 있다. 또는 제우스가 헤라 에게 처음으로 반한 곳은 에우보이아 지방이었는데ㅡ 그는 키타이론 산에까지 그녀를 쫓아가 동굴속에서 결혼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때 헤라의 유모인 마크리스가 헤라를 찾으로 가자, 키타이론 산은 지금 동굴속에 제우스와 같이 있는것이 헤라가 아니라 레토라고 속여, 유모를 쫓아버렸다고 한다. 이 밖에도 헤라에 대한 숭배가 성행한 크레타 섬, 사모스 섬, 낙소스 섬, 등에는 각각 두 사람이ㅡ 성스러운 결혼을 자기 지방과 관련시킨 비슷한 신화가 전해지고 있다. 또한 그리스 각지에서는 인간의 남녀, 또는 두 사람의 결혼을 기념하는 축하의식이 거행되었다. 석류나무와 사과가 헤라의 신목이다. 아테네 시에는 예로부터 헤라의 달인 가메리온('결혼의 달'이라는 뜻. 1월에서 2월사이)에 결혼했으며, 신부에게 석류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또 헤르페리스들이 지키는 황금사과는, 그들의 결혼을 축하하는 가이아로부터 선물이었다. 헤라의 수호 분야가 여성의 생활에 국한되어 있던 것은 극히 초기의 일이었다. 나중에는 모험과 전투에서 극히 주요한 역활을 하게 되어 왕후와 귀족들로부터 숭배를 받았다. 미술품에 묘사되어 있는 헤라는 키가 크고 상당히 체격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에는 왕관이나 화관을 쓰고 손에 홀을 들고 있다. 그녀는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아레스, 에일레이티아, 헤베 등을 낳았으며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와 관계하지 않고 헤라가 혼자 낳은 아들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항하여 제우스가 자기 머리에서 아테나를 피어나게 하자-물론 이때 헤라이스토스가 도끼로 제우스의 머리를 깨는 역활을 했으나-이를 질투한 헤라가 다시 티폰을 낳았다는 설도 있다. 티폰은 나중에 제우스의 가장 위험한 적이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티폰을 대지인 가이아의 아들로 보고 있다.) 헤라에게는 호색적인 남편에 대한 질투때문에 제우스가 상대한 여성과 님프 및 그 자식들에 대한 복수 이야기가 많다. 정절과 귀감 헤라는 일부일처제를 사회의 규범으로 삼은 그리스 민족의 수호신답게 절정의 귀감으로 일생을 보냈다. 올림포스의 신들과 기가스의 싸움 때, 제우스는 아마도 헤라의 정조를 시험하기 위해서였을테지만, 기가스의 하나인 포르피리온에게 헤라에 대한 욕정을 일으키게 한 일이 있었다. 그러나 포르피리온이 막 헤라를 범하려 했을때 제우스는 벼락을 떨어뜨려 그를 죽였다. 에피알테스도 헤라를 범하려 했지만 이때에는 처녀신인 아르테미스가 그를 죽였다. 익시온도 신들의 초대를 받고 천상에 갔을때, 손님의 신분임을 잊고 헤라를 넘보려 했다. 그러자 제우스는 구름으로 헤라와 비슷한 모습을 만들어 익시온으로 하여금 그것과 동침하도록 만들었다. 그 뒤 제우스는 그를 타르타로스에 떨어뜨려 영겁의 벌을 받도록 했다. 헤라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묘사된 트로이 전쟁에서도 중요한 역활을 한다. 그러나 세 여신이 각각 자기가 가장 아름답다는 말을 듣기 위해 트로이의 왕자 피리스를 매수하는 '피리스의 심판'에 대해서는 <일리아드>에 자세한 언급이 없다. 헤라는 아시아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미끼로 파리스를 유혹하려 했으나 실패하자, 이에 한을 품고 트로이를 철저히 박해했다. 스테시코로스등은, 헤라가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와 사랑의 도주를 하려는 헬레네의 불명예스러운 행위를 면하게 하기 위해 파리스를 헬레네의 환상과 도주하게 하고 진짜 헬레네를 헤르메스로 하여금 이집트에 데려가게 했다고 말하고 있다. 헤라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동안 가끔 제우스의 명령을 무시하면서 그리스편을 들었다. 한번은 아름답게 차려 입어 남편의 마음을 끌게 하고 구름속에 사랑을 잠자리를 마련하고는, 그동안에 포세이돈으로 하여금 그리스를 돕게 만들었다 <아에네아스>에 서술된 바에 따르면, 트로이에 대한 유노의 증오는 트로이에서 도주한 아에네아스에까지 미치고 있다. 그러나 유피테르(제우스)에게, 이탈리아로 도망갔던 트로이인이 앞으로 이탈리아를 발전시킬 것이라는 설명을 듣고 겨우 분노를 풀었다. 한편 황금의 양털 가죽을 찾으러 원정을 떠나는 이아손에 대해서는 헤라 스스로 노파로 변신하여 이아손 일행에게 힘을 빌려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이올코스의 펠리아스 왕에 대해 복수하겠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펠리아스는 헤라의 신전으로 피신해온 계모 시데로를 죽여 신성한 신전을 더렵혔을 뿐만 아니라, 그후에도 헤라를 숭배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펠리아스는 마녀인 메데이아에게 속은 자기 딸들에게 토막쳐져 솥에 삶아졌다. 프라타이아이 지방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남편의 외도에 견디지 못한 헤라가 한번은 남편곁을 떠났다. 이에 제우스는 프라타이아이의 왕 알랄코메네우스 또는 키타이론과 상의한 끝에 그의 권고에 따라 떡갈나무로 큰 여신상을 만들어 여기에 베일을 씌워 마차에 태웠다 .이것은 키타이론의 딸인데 헤라가 떠난 뒤 제우스가 새로 맞은 아내라고 했다. 헤라는 화가 나서 당장 베일을 벗겼다. 이것이 헤라에게 질투심을 일으켜 그녀를 데려오고자 하는 제우스의 의도였다는 것을 안 헤라는 웃음 터뜨리고 제우스한테 돌아왔다고 한다. 헤라는 그리스의 모든 지방 여성들로부터 숭배를 받았다 (그녀는 출산과 산욕의 일을 딸인 에일레이티아에게 양도했으나,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로마에서는 에일레이티아를 탄생의 여신인 일리티아 루키나라고 불렀으며 나중에는 유노 루키나라고 불러 모녀를 동일시했다). 아르카디아 지방인 스팀팔로스에서는 헤라를 여성의 일생을 나타내는 '처녀', '아내', '과부'의 세가지 이름으로 불렀다. 또한 아르고스 지방에는 헤라가 1년에 한번씩 카나토스 샘에서 목욕을 하여 나이를 씻어버리고 처녀성을 되찾곤 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A statue of Hera at the Vatican.
(출처-http://simple.wikipedia.org/wiki/File:Divinit%C3%A0_sul_tipo_della_hera_borghese,_copia_romana_da_originale_della_scuola_di_fidia,_da_tor_bovacciana_(ostia),_inv._2246.JPG )
Head of Hera with diadem. Marble, Roman copy from the Imperial Era after the “Barberini Hera” type, 5th century BC.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Hera_Barberini_Chiaramonti_Inv1210.jpg )
Head of Hera (출처-http://0.tqn.com/d/ancienthistory/1/0/I/T/2/ArchaicHera.jpg )
HeraZeusFrieze (출처-http://0.tqn.com/d/ancienthistory/1/0/H/T/2/HeraZeusFrieze.jpg )
Juno Sospita, a
plaster cast based on an original in the Vatican Museums(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Juno_sospita_pushkin.jpg)
Juno. Silver statuette, 1st–2nd century.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Iuno_Petit_Palais_ADUT00168.jpg)
Hera, Juno (출처-http://arc.pandhitopanji-f.org/documents/figures/c_Hera-Juno.jpg)
Hera and Prometheus, tondo of a 5th-century plate from Vulci, Etrur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Hera_Prometheus_Cdm_Paris_542.jpg )
Herakles strangling the snakes sent by Hera, Attic red-figured stamnos, ca. 480–470 BC. From Vulci, Etruria.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Herakles_strangling_snakes_Louvre_G192.jpg )
This is one of the many works depicting the event. Hera is the goddess in the center, wearing the crown. Das Urteil des Paris by Anton Raphael Mengs, ca. 1757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Mengs,_Urteil_des_Paris.jpg )
Hera Juno Goddess (출처-http://3.bp.blogspot.com/_Kk6FjIxuco8/TLxmdo8S5dI/AAAAAAAAF2U/zvB5nC_Al3M/s1600/Hera.jpg)
Io with Zeus, by Giovanni Ambrogio Figino.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Figino.jpg)
The Origin of the Milky Way by Jacopo Tintoretto.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Jacopo_Tintoretto_011.jpg )
Jupiter and Juno by Annibale Carracci. (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Carracci_-_Jupiter_et_Junon.jpeg )
테티스(Thetis) (0) | 2014.01.31 |
---|---|
플로라(Flora, Khloris, Chloris) (0) | 2014.01.31 |
헤베(Hebe, Juventas) (0) | 2014.01.30 |
헤스티아(Hestia, Vesta) (0) | 2014.01.30 |
히게이아(Hygea,Hygeia, Hygie) (0) | 2014.01.30 |